- 삭제도 쉽다!
- 파라미터 id 값을 받아 서비스에게 넘겨준다.
@DeleteMapping("/api/soccer-team/{id}")
public ResponseEntity<Team> deleteSoccerTeam(@PathVariable Long id){
Team deleted = soccerteamService.deleteSoccerTeam(id);
//삭제가 잘 되었는가?
return (deleted != null) ?
ResponseEntity.status(HttpStatus.NO_CONTENT).build():
ResponseEntity.status(HttpStatus.BAD_REQUEST).body(null);
}
- 서비스에서 deleteSoccerTeam 메서드를 만들어 삭제 기능 구현을 한다.
- soccerteamRepository에서 받은 id값으로 해당되는 데이터를 찾는다.
- 없을 때는 orElse(null)을 반환하게 한다!
- 삭제가 되었다면 그냥 삭제 된 데이터를 다시 반환 해준다.
public Team deleteSoccerTeam(Long id) {
Team target = soccerteamRepository.findById(id).orElse(null);
if(target == null)
return null;
soccerteamRepository.delete(target);
return target;
}
No Content가 뜨면서 올바르게 삭제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h2DB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.
'스프링 > 축구 팀 CR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Boot 축구 팀 CRUD 초초초미니 프로젝트 - 축구팀 수정 구현 (1) | 2024.04.22 |
---|---|
SpringBoot 축구 팀 CRUD 초초초미니 프로젝트 - 축구팀 생성 구현 (1) | 2024.04.22 |
SpringBoot 축구 팀 CRUD 초초초미니 프로젝트 - Service 추가 (0) | 2024.04.22 |
SpringBoot 축구 팀 CRUD 초초초미니 프로젝트 - 팀 리스트 조회, 단일 팀 조회 (4) | 2024.03.17 |